주가관련 경제지표 분석하며 공부하기

22년 8월 중국 금리인하 단행..경기침체를 극복할까?

미라클보이 2022. 8. 18. 22:20

현재 상승장이 나쁘지 않은데.. 

현재 유가가 잡히고, 인플래이션도 잡히고 있다는 결과가 있어서 그런듯 합니다.

미국기업들의 2분기 실적도 나쁘지 않고, 월마트가 주도하는 유통쪽 매출도 나쁘지 않았군요.

신용카드 소비도 나쁘지 않게 나왔습니다.

신호는 좋은 방향으로 가고있는것 같은데 아직은 방심하면 안될듯 하긴 합니다.

이런 시장에서 중국은 홀로 금리를 내렸다는 뉴스가 나왔습니다.

이것은 즉 경기부양을 하겠다 아니면 경기침체 때문에 금리를 내린것이라고 보여집니다.

중국은 수출이 부진해도 15억 중국 내수시장으로 버틸수는 있는 힘이 생기기는 했지요.

그동안 경기부양하던 주택, 부동산 정책이 한계에 왔을수도 있다고 보여지기도 합니다.

중국 주택가격 2년 변동 그래프


마이클 버리의 주관에 따르면 주택가격하락은 경기침체를 알려주는 신호이다.

부동산 가격은 하락하는게 위험하긴 합니다.

중국은 공동부유정책으로 성장하던 많은 민간기업들을 통제하고 쑥대밭을 만들고 있었습니다.

아파트 가격하락으로 부동산도 932조원의 돈이 묶여있는 상태라네요.

공동부유정책은 특히 중산층의 타겟이 되고 있고 이에대한 불만은 고조되고 있는데요.

이런 불만을 미국과 대만에 대한 불만으로 만들지 않을까? 전문가들은 약간의 걱정을 하는군요.

22년 2분기 GDP 성장률도 간신히 + 만들었습니다. 상해 통제 여파일수 있는데, 3분기에는 이것보다는 좋아질꺼라고 

전문가들은 예상하네요.

중국의 10년간 GDP 는 하락하고 있기는 합니다.

미국과 중국의 시장이 좋아야 증시가 안정될텐데 중국이 비틀거리는 건 항공기 엔진 2개중 개가 작동을 안하는 것 같은 것이랍니다.

전년대비 중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추이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대비 2% 수준 이라니 나쁘진 않은데

중국 생산자물가지수 (PPI)는 급락중인걸로 차트는 보여집니다.

전년대비 중국 생산자물가지수(PPI) 추이


금리를 내렸으니 생산자물가지수 (PPI)는 오를수도 있을 가능성이 있네요.

중국 대외수입액이 줄고 있는데, 이건 경기침체 신호로 보입니다.

중국은 헝다이후로 경기가 침체기조처럼 보이기는 합니다.

그렇다면 부동산이 뭐길래?

부동산 시장이 살면 집값상승하고 주인들 좋고 공급을 늘리려 고용이 늘고

소비가 늘어나고 할것입니다. 정부는 세수확보도 좋아지고요..

대신에 가게부채 증가, 인플레이션 , 빈부격차 늘수 있어서

부동산은 양날의 검이다.

중국 부동산시장 미국만큼은 아니더래도 무너지면 세계에 어느정도 파급효과를 줄수 있을 겁니다.

중국 M2 통화재고 변동 (5년간)


 중국은 금리를 내리면서 통화량도 늘리고 있는 중입니다.

경기부양을 하려고 하는 것은 확실하지요.

우리나라 뉴스만 보면 중국 부동산 하락하고 있다고만 나오는데

내용을 자세히 보면 대도시는 아직 상승세이고 위성도시와 지방이 하락추세입니다.

만약 대도시가 계속 상승세이면 완벽학 하락은 아니라고 생각해보아도 될듯 하고요.

부동산이 살아난다고 해도 어느정도 해결을 하고 올라가야 합니다.

그냥 다시 부동산만 살리면 나중에는 위기때 진짜 큰 침체가 올수 있다고 경고하네요.

우리는 뉴스 헤드라인 자극적인 것만 보지말고 내용을 보고 분석하는 법을 알아야 할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