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매번 주식하면서 공매도 공매도 하는 소리를 거의 매일 들었을 겁니다.
보통 주린이들은 그냥 주식 괜찮아 보이면 사고 기다리면 오르겠지 하는 막연한 기대감이 있을텐데 그러면 큰일나는 건 요즘 시장을 보면서 느끼실 겁니다.
특히 요즘같은 어지러운 환경에서 공매도는 특히 조심해야 하는데요.
보통 뉴스를 보면 공매도 거래대금이 늘면??? 우리 개미들 한테는 좋은 뉴스는 아니라는 걸 주식 완전 초보가 아닌이상 아실겁니다.
특히 외국인들과 기관들을 중심으로 공매도가 늘면 우리 개미들은 공매도 폐지를 주장하면서 난리부르스를 떨어도 정부는 언제나 한결같이 들은척 만척 하고 그냥 흐지부지 되고 말아요.
보통 증시가 좋지 않으면 공매도가 늘어난답니다.
공매도의 정의
공매도란 특정 종목의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면 해당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주식을 빌려 매도 주문을 내는 투자 전략이다. 말 그대로 ‘없는 것을 판다’라는 뜻으로 주식이나 채권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매도주문을 내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정의를 하는데 해석하기가 쉽지 않지요.
즉 주식이 있는 사람에게서 빌려와서 판다는 의미입니다.
그냥 보통 주식을 쌀때 사서 비싸게 사는게 원칙인데, 이걸 다 반대로 생각을 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주식 10,000 원 짜리가 내릴 것이라 판단하고 다른사람의 주식을 빌려 팔고
그 주식이 10,000원에서 5,000 원이되면 사서 5,000원의 수익을 내는 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공매도의 종류
1) 차입공매도 – 매도하려는 주식을 다른 투자자들에게 빌려서 매도하는 방식
2) 무차입공매도 – 굳이 다른 투자자들에게 빌리지않고도 매도가 가능한 방식
우리나라는 1번 차입공매도만 허용하고, 2번 무차입 공매도는 불가하다는 것만 일단 알아두시면 될듯 합니다.
그런데 1번 차입공매도는 우리 개미들이 갖고 있는 주식이 공매도로 활용된다는 것은 알아두셔야 겠습니다.
그럼 우리 주식이 공매도로 활용이 안되려면 주식대여대차거래 서비스를 해지하는 것으로 방어를 할 수 있답니다.
대여계좌 해지방법
영웅문 모바일로 설명드리자면
영웅문 S# 을열고 검색창에서 대여를 치시고 신청,해지 목록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대여관련 화면에서 신청하시거나 해지하시면 되는데 저는 이미 해지가 된 상태로 나온답니다.
공매도 못하게 하려면 해지를 해야겠지요.
그냥 주린이들은 자동으로 대여서비스가 등록이 된 다른 증권사도 많아서 갑자기 대여서비스가 체결되었는니 하는 문자를 받으신 분들이 있을 겁니다. 그건 공매도를 위해 의도치 않게 빌려준 거니 항상 대여서비스는 신청하여 외인이나 기관에 당하시지 않길 바랍니다. 물론 대여해주면 0.5 ~1% 의 이자가 발생한다는데 이거 받아봐야 그들에게 좋은 일만 시키는 겁니다. ㅎㅎㅎ
공매도 주식 알아보기
만약에 주식이 그래프도 좋아보이고 해서 들어가고 싶은데 들어가기전에 꼭 확인할것이 해당주식의 공매도 현황입니다.
일단은 쉽게 우리가 네이버 창에서 삼성전자 주식을 본다면 붕간 메뉴표에 공매도 현황을 확인하시면 된답니다.
공매도 현황을 클릭하시고 삼성전자의 공매도 현황을 기간에 맞추어 확인하시고 자료를 다운받을 수도 있어요.
삼성전자의 6개월간 공매도 현황을 잔량으로 확인하고 그래프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나는군요.
그래프를 보시면 거의 공매도가 늘어가면서 삼성전자 주가도 올해 계속 빠지면서 무너지고 있답니다.
공매도가 줄어든다면 조만간에 단기 반등을 할수도 있을텐데, 세계 경제 상황도 주의 깊게 지켜보면서 회복하는 것을 확인하고 들어가도 늦지 않을듯 합니다.
한국거래소에서도 공매도 현황을 확인 가능하답니다.
네이버에서 검색하면시면
해당사이트에 클릭하시고 각종 공매도 현황을 조건에 맞추어 보실수 있답니다.
공매도과열종목, 공매도 상위 거래 종목등 주의해야 할 종목들 확인하고 주식을 매수할지 기다릴지 확인하시면 된답니다.
여지껏 지켜본 바에 의하면 공매도 증가하는 종목은 거의 주가하락을 할 가능성이 높답니다.
그러니 항상 주의하고 확인하시는 습관을 키우시길 바랍니다.
'주가관련 경제지표 분석하며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페이 한국 출시 임박 (0) | 2022.10.10 |
---|---|
캔들차트 알아보기 (1) | 2022.10.09 |
지지와 저항선 알아보기 2탄 (추세에 따른 주가분석해 보기) (0) | 2022.10.02 |
9월26일 한국증시 상황 개인 정리보고 (0) | 2022.09.26 |
지지와 저항선 알아보기 (1) | 2022.09.13 |